메주고리에 대한 주교이자 퇴마사인 안드레아 젬마 주교의 평가: “완벽한 악마의 짓거리”...
“나의 자녀들아, 기도하여라! 인류에게 큰 선택의 순간이 다가오고 있다. 참회와 고통의 쓰라린 눈물을 흘리게 될 것이다. 성자의 교회에 분열이 생기는 것을 천국은 바라지 않는다. 나의 자녀들아, 기도하여라.
“되돌아가는 방법은 아주 간단하다. 우리 양들을 인도하는 목자들아, 너희의 가르침도 되돌려야 한다. 거짓 교만은 버려라. 교만은 언제나 멸망하기 전에 오는 징조이다. 이는 성자의 교회를 만드신 성부께서 예언자들을 통해 너희에게 준 단순한 율법이자 교훈이다. 이 율법을 다시 새기거라. 성자의 교회에서 분열의 무거운 십자가를 세상에 내어서는 안 된다. 경험하려 하지 말아라. 이단은 내쫓아야 한다. 비밀 단체들을 내쫓아라. 사탄에게 자신을 바친 자들을 너희 중에서 가려내 쫓아내야 한다. 이단자들을 파문하고 내쫓아라!”
- 베이사이드 메시지 중
로사리오의 성모님, 1976. 9. 28
Catholic Light 2011. 4. 3 기사
(catholiclight.stblogs.org/archives/2011/04/gemma-on-medjugorje.html)
이 지역의 순례자 및 방문자의 증가와 이에 따르는 금전적 이익에 직접 관여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현시자와 그들의 협력자들은 경제적 이익뿐 아니라 사악한 악마적 이익마저 공유하고 있다. 그리고 사악한 자는 메주고리 발현을 굳게 믿는 신자들과 이 발현에 회의적인 교회와 신자들 사이에 불화를 뿌린 것에 만족하고 있을 것이다. 당시 모스타르 교구의 후임 주교 두 명이 “엄청난 속임수”라고 말하며 이 발현에 회의적이었다. 현존하는 가장 위대한 엑소시스트 중 한 명인 이세르니아-베나프로(Isernia-Venafro)의 전임 주교였던 안드레아 젬마(Andrea Gemma, 재임기간 1990-2006) 몬시뇰은 당당하게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성모님 대신에 지금까지 메주고리에는 오직 돈의 강만이 나타났다.’ 이는 이러한 가시 돋친 사건에 대한 ‘성 페트루스’의 질문에 답하기로 동의한 고위 성직자의 용기뿐 아니라 도덕적, 영적 능력을 요약한 중대한 고발문이다.
질문: 메주고리를 어떻게 정의하는가?
“셀 수 없는 지하 세계의 이해관계가 뒤얽힌 절대적으로 악마 같은 사건이다. 모스타르 주교의 입을 통해 밝힌 교회의 유일한 공식 입장은 성모마리아께서 메주고리에 나타난 적이 없으며 이 모든 소동은 악마의 소행이라는 것이다.”
질문: ‘지하 세계의 이익’이라고 했는데 이것은 무엇인가?
“나는 ‘악마의 똥’이라고 부르는데, 돈을 말하는 것이다. 다른 것이 무엇이겠는가? 메주고리에서의 모든 것은 돈과 연관된다. 순례 여행, 숙박, 기념품 판매 등. 이런 식으로 성모님을 만날 생각으로 그곳에 가는 가난한 사람들의 선의를 이용해 거짓 현시자들은 재정적인 이득을 취하고, 그 돈을 이용해 결혼도 하였으며, 부유한 삶을 살고 있다. 생각해보라. 그들 중 한 명은 직접적인 경제적 이득을 위하여 직접 미국에서 매년 순례단을 수십 차례 모집하였다. 내가 보기에 이 사람들이 사심 없어 보이지 않는다. 오히려 모든 사람을 이 요란한 사기극에 쉽게 넘어오게 하여, 성모님과 이야기 한다고 믿게 하는 이유는 오로지 물질적 욕심 때문이다.”
질문: 젬마 몬시뇰 당신의 이런 주장에 대해 반박은 없었는가?
“반박할 수 있겠는가? 이들이 성모님과 접촉했다고 주장하지만 실제로는 오직 사탄으로부터 영향을 받아 절대적으로 더러운 이익과 권리의 독점을 위해 신자들 사이에 혼란과 혼동으로 초래하고 있다. 생각해보면 그들이 교회에 돌려준 것은 불순종뿐이다: 그들의 영적 지도자로 있는 프란치스코 수도회 수사 한 명은 수도원에서 추방되고 자격을 박탈당했음에도 여전히 성사를 주고 있다. (이 인터뷰는 토미슬라프 블라시치가 환속하기 전인 2008년에 이루어졌다) 그리고 교황청의 분명한 금지에도 불구하고 전 세계의 수많은 성직자들이 메주고리를 목적지로 하는 순례단을 계속 조직하고 참여하고 있다. 이 얼마나 부끄러운 일인가! 이것이 내가 개인적 이익과 악마적 이익이 혼합되었다고 말하는 이유이다. 거짓 현시자들과 그들의 조력자들은 돈을 강탈하고 있으며, 악마는 신자들과 교회 간에 불화를 일으키고 있다. 더 깊이 빠진 광신적인 신자들은 사실 처음부터 교회의 말에 귀를 기울이지 않았다. 다시 말하지만, 교회는 처음부터 메주고리의 발현을 거짓으로 규정하고 경고하였었다.”
질문: 만약 현시자들이 진짜 성모님을 보고 있다면?
“실제로 저들은 사탄의 거짓된 가면을 보고 있다. 사탄은 교회의 분열을 목적으로 하기에, ‘메주고리를 보는 찬성’과 ‘반대’ 두 진영의 힘을 서로 맞추려 한다. 더구나 이런 시도는 이것이 처음이 아니다: 성 바오로도 악마가 빛의 천사로 가장하고 나타날 수 있다고 경고하였다. 성 젬마 갈가니도 이런 경고를 했었다. 메주고리에는 사악한 자가 이미 개입되었으며, 그는 쉽게 돈을 벌 수 있다는 약속을 하며 거짓 현시자들을 부추기며 현재 상황까지 왔음을 확신할 수 있다.”
질문: 당신은 저 현시자를 별로 좋아하지 않는가?
“제발! 저들이 어떻게 행동하는지 조금만 관찰하면 알 수 있다. 저들은 교회에 불순종한다. 진작에 조용한 개인의 삶으로 물러났어야 한다. 하지만 저들은 돈을 위해, 거짓말을 지속하기 위해 아직도 악마의 장난을 계속하는 것이다! 나는 저들을 볼 때마다 루르드의 현시자 성 베르나데트를 떠올린다. 성인은 자신의 삶을 모두 버리고, 주님을 온전히 섬기기 위해 수녀의 삶을 선택하였다. 반면 메주고리의 사기꾼들은 하느님이나 교회에 대해 어떠한 사랑을 보이지도 않고 계속 안락한 삶을 쫓고 있다.”
질문: 메주고리의 지지자들은 교황청이 이 발현에 대해 어떠한 입장표명도 하지 않았다고 말한다.
“그건 또 다른 거짓말이다! 내가 전에 지적하였지만, 바티칸에서는 사제들의 메주고리 순례를 금지하였다. 이 결정은 모스타르의 전임 주교였던 자니크 몬시뇰과 페리크 몬시뇰을 통해 전하였다. 나는 그분들과 직접 대화를 나누었으며, 그분들 또한 저들에 대해 의심을 하고 있었다. 생각해보면 파티마나 루르드조차도 교황청에서는 성모님의 발현에 대해 어떤 입장도 표명하지 않았다. 그런데 왜 저들은 이 경우에만 예외를 두려고 할까? 진실은 모스타르 교구의 주교가 공식적으로 말하는 것이 교회의 입장이며, 바티칸은 교구의 주교에게 그러한 권위를 부여하였다는 점이다. 그러므로 교황청은 이미 모스타르의 주교를 통해 입장을 표현하였고, 메주고리가 사악한 속임수임을 분명히 하였다. 내가 당신에게만 한가지 비밀을 말해주지. 당신은 이제 곧 바티칸이 이 사기극의 배후를 밝히기 위해 뭔가 터트리는 것을 보게 될 것이다.”
질문: 메주고리의 지지자들은 매년 이곳에서 벌어지는 기적과 회개의 기록을 보고한다고 주장한다..
“조작된 것이다. 이 집계를 누가 내는가? 어떤 이가 개종하는 것은 이미 그의 마음이 굳어졌던 것이다. 그는 자신의 영혼을 들여다보려 노력하였으며, 이 때문에 성신의 은총을 받은 것이다. 이런 개종이 일어나는 장소는 완전히 상대적이다. 성 바오로를 생각해보자. 그는 길에서 회개하고 개종하였다. 그러면 우리는 이제 모두 길에 나가 개종을 기다려야 하는가? 그리고 기적에 관해 개인적인 일화를 하나 말하겠다. 내 가족 중 한 명이 폼페이에서 로사리오 성모님의 기도로 기적적으로 치유된 적이 있다. 물론 폼페이에서 성모님께서 나에게 나타나셨다는 뜻은 아니다. 그러므로 단지 믿는다고 해서, 혹은 안팎에서 치유된다고 해서 반드시 성모님께서 사람들에게 나타나 자신을 드러내셨다는 의미가 아니라는 의미이다.”
"세상 곳곳의 나의 목소리를 전파하는 이들을 통해 우리는 모든 추기경과 주교들에게 이 경고를 보낸다. 성부께서는 저들이 비밀 조직에 들어가는 것을 용서치 않으신다! 사랑과 생명의 책에 써진 대로 선택된 자들은 성자께서 만들어 놓은 계명과 규율을 반드시 지켜야 한다. 삼위일체의 이름으로 너희에게 명한다. 세상의 주교들과 추기경들은 성자를 내쫓고 신앙을 파괴하려는 모든 자들을 찾아내 성직의 모든 힘을 사용하여 직을 빼앗고 파문하여야 한다!"
- 베이사이드 메시지
로사리오의 성모님, 1974. 8. 21
번역: 성미카엘회 회장 송 바울라 정자
SOURCE:
The electronic form of this document is copyrighted.
Quotations are permissible as long as this web site is acknowledged with a hyperlink to: https://www.tldm.org
Copyright © These Last Days Ministries, Inc. 1996 - 2020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