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약성서(1959년판) 21

9. 사무엘 후서 (1959년판)

사무엘 후서(=〔불〕 제이 열왕기) 사무엘 후서 一장 다위가 사울의 전사의 소식을 듣다. [一] [일] ○ 사울이 죽은 뒤, 다위가 아말레크를 치고 돌아와, 다위가 씨클락에 머무른지 이틀이 지나고, [이] ○ 사흘이 되는 날에 문득 사울한테서 부대로부터 한 사람이 왔는바, 그의 옷들이 찢어지고 그의 머리 위에는 흙이 얹혔더라. 그가 다위에게로 들어오자 땅에 엎드려 큰절하니. [삼] ○ 다위가 그에게 이르기를 「네가 어디서 오는 길이뇨」 하매, 그가 그이에게 아뢰기를 「나는 이스라엘의 부대에서 도망하여 살아왔나이다」 하니라. [사] ○ 그에게 다위가 또 이르기를 「일이 어떻게 되었느뇨. 내게 제발 알려라」 하였더니, 그가 아뢰기를 「백성이 전쟁을 그만 두고 도망하였을뿐 아니라 백성 중에서 많이 넘어져 죽었..

9. 사무엘 전서 (1959년판)

구약성서 제5편 사 무 엘 전 ⦁ 후 서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Nihil ovstat: die 1 Aug. 1960 Rev. Victorinus Youn Censor Deputatus Imprimatur: die 14 Aug. 1960 ✝ Paulus M. Ro Vicarius Apost. Seoulensis 사무엘 전⦁후서 입문 이 책의 명칭이 헤. 에서는 「사무엘 전⦁후서」라 불리고, 〔그〕에서는 「나라들의 사기 일⦁이서」라 불리고 〔불〕에서는 「열왕기(列王記) 일⦁이서」라 불린다. 헤.의 명칭은 그 책의 저자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그가 그 책에 기록된 주인공의 한 사람이요, 또 그가 다음 사울과 다위 하는 인물들을 임금으로 세우는데 큰 구실을 한데서 온 것이다. 〔그〕의 명칭은 다음 열왕기 전 후서..

8. 루 트 기 (1959년판)

루트기 입문 판관시대에 된 사실로서, 모압여인 루트에 관한 기록이다. 이스라엘에 귀화하여 다위 왕의 조상이 된(四 일칠) 사실을 기록함이 그 중요목적이요, 거기에서 천주의 자비심이 모든이에게 마침을 볼 수 있다. 그의 효도심과 시댁의 번성을 위한 성의는(三 십) 며느리 된자의 표본이라 하겠다. 그는 멧시아의 조상으로 적혔다(마복 一 오). 루트기가 기록된 것은 다위가 임금이 된 후 얼마 아니 있어서 일 것이다. 그리고 루트기는 옛사람의 생활제도를 우리에게 잘 드러내는 특징을 가졌다.(二 사- 三 일칠, 三 일-일오, 四 칠-십). 루트기 一장 루 트 기 루트와 농오미(一장) 농오미가 모압 땅으로 이거하다 [一] [일] ○ 판관들이 다스리던 시대에 땅에 기근이① 들게 되었더니, 유다의 베트⦁렉헴의 한 사람..

7. 판관기 (1959년판)

판관기 입문 요수에가 죽은 다음부터 왕정이 펴지기까지의 사이를 판관시대라 함은, 이스라엘 여러 지파간에 종교적 연결외에는 통일기관이 없고, 다만 때를 따라 천주께서 일으키신 장군이 민족구원의 공훈으로 얻은 권력을 써서 한 지방에서 자기 당대 집권하고 있는 시대였기 때문이다. 그들은 세습이나 선거로써 권력을 얻은것도 아니요, 새로 법을 세우거나 세금을 받거나 한것도 아니었다. 판관(=士師)들이 제 민족을 국란에서 구하는 사명은, 이스라엘이 방알 신을 따르며 천주를 배반하다가 천주의 벌로 외교백성의 압박을 받게 되었을 때, 제 잘못을 뉘우치고 천주께로 귀화하는 기회에, 천주께서 베푸시는 은혜로 말미암아 된것이었으니, 종교 교육을 위한 천주의 섭리로서 나타난 바이었다(二 일일-일팔). 열두 판관 중 바라크(四..

6. 요수에기 (1959년판)

구약성서 제4편 요수에기판관기루트기 한국 천주교 중앙협의회 Nihil obstat: Rev. Benedict Sye, O.S.B. Censor Deputatus Imprimatur: 25th March 1958. + Thomas Quinlan Vicar Apostolic of Choon Chun 요수에기 입문 「야훼께서는 구원이시다」의 뜻인 요수에(여호슈앙으)의 사명 달성을 적은 이 요수에기는 모셰 오경을 잇는 역사서로서, 천주의 자비와 성실과 전능을 잘 드러낸다. 요수에가 모셰의 뒤를 이어 받은(신명 三四 구) 천주의 사명은(신명 三一 일-팔) 천주께서 성조 아브라함에게와(창세 一二 칠, 一六 일륙-이일, 一七 팔), 이사악에게와(二六 삼-오) 야꼽에게(창세 二八 일삼, 三五 일삼) 약속하신 바 있는 ..

5. 신명기 (1959년판)

신명기 입문 「둘째 법」 (그. 데우떼로노미온, 라. Deuteronomium) 이라 불리는 이 신명기(申命記)는 모셰의 오경 중 다섯째이며 마지막 책이다. 출애급기, 레위기, 민수기에 흩어져 있는 갖가지 법을 이 책에 되풀이하기 보다는 새로이 들어갈 환경에 알맞은 법으로 개편하는 뜻에서 「둘째 법」이라 불릴것이요, 이 법을 지키라는 모셰의 자부적 열렬한 권고의 말씀의 테두리 안에서 전하여졌기 때문에 「신명기」라 불릴 것이다. 권고 말씀의 기본되는 것은 이스라엘이 천주의 순전한 은총으로 선정된 백성으로서(七 일-일륙), 저희가 받은 수많은 은혜를 천주께 보답하는 뜻으로 그법을 지키기에 충실하여야된다(五 삼이- 六 이오, 一○ 일이-이이) 함과, 거기에 따르는 큰 행복을 약속하심이다 (一一 팔-삼이, 二八..

4. 민수기 (1959년판)

구약성서 제 3편 민 수 기 신 명 기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Nihil obstat : Rev, Benedict Sye, O.S.B. Censor Deputatus Imprimatur : 25th March 1958. ╋ Thomas Quinlan Vicar Apostolic of Choon Chun 민수기 입문 병정과 성소집무자를 징집하기 위한 「인구조사」 (一四, 二六장)에 든자들의 수효(그. 아리트모이 라. Numeri)가 기록된데서 민수기(民數記)라 불리는 이 책은 출애급기를 잇는 역사서이며, 때때로 새로이 제정된 법도 그 안에 기록되어있다. 역사의 부분으로 말하면, 시나이산 밑에서 모든 준비를 갖추고서 둘째 빠스카를 지낸 다음(九 일-일사),까데슈를 향하여 떠나가는 동안(一○ 일일-삼륙), 음식관..

3. 레위기 (1959년판)

레 위 기 입 문 레위지파에 딸린 아하론 사제직의 예전서(禮典書)라고 불릴 이 레위기는 이스라엘 단체의 경신행위와 개인의 성덕을 드러내기에 맞갖은 여러 규정이 실린 책이다. 역사에 속한것은 아하론과 그의 아들들의 사제서품식 광경(八-一○장)과 트기의 설독한 사실과 그 벌(二四 십-이삼)에 관한것에 그쳤다. 경신에 관한 것으로서는 제사의 여러 종류(一-五장)와 제사 드리는 사제의 권리와 의무(六-七장), 사제의 본분 (一○ 팔-이십), 재계의 날(一六장), 성소의 단일성과 희생의 피(一七장 一九 이륙), 제사잔치(一九 오-팔), 외교신을 위하지 말것(二○ 일-팔), 사제의 성스러움(二一 일-二二 일륙), 제물의 완전성(二二 일칠-삼십), 축일을 지내는 예절(二三장), 성소에 켜둘 등잔과 차려놓을 빵(二四 ..

2. 출애급기 (1959년판)

구약성서 제2편 출 애 급 기레 위 기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Nihil obstat : Rev. Benedict Sye, O.S.B. Censor Deputatus Imprimatur : 25 th March 1958. 十 Thomas Quinlan, Vicar Apostolic of Choon Chun 출 애 급 기 입 문 헤브레아민족이 에집트에서 「떠나 나옴」 (그. 엑쏘도스, 라. Exodus)에서 「출애급기」라 불리는 이 책에는 요셒의 죽은 다음 학정아래에서도(一 팔 이이) 큰 세력을 가지고 자라난(一 칠 일이) 이스라엘겨레가 천주께서 이미 아브라함에게 하신 약속의 (창세 一五장) 실현을 보게되어, 모셰의 영도하에 수 많은 기적의 힘으로 말미암아 (七 팔-一○ 이구, 一二 이구-삼사) 에집트 나라에..

1. 창 세 기 (1959년판) [2-2]

창세기 二一 이사악의 출생 [二一] [일] ○ 야훼께서 이미 말씀하신바와 같이 싸라를 찾아오시고, 야훼께서 약속하신바대로 싸라에게 행하시니라. [이] ○ 그러므로 싸라가 잉태하여 늘그막인 아브라함에게 아들을 낳아주니, 때는 바로 천주께서 이이에게 약속하셨던 그 때이더라. [삼] ○ 이에 아브라함이 자기에게 싸라가 낳아준 제 아들 갓난아이의 이름을 이사악(이쓰하크)이라 부르고, ① [사] ○ 또 아브라함이 천주께서 자기에게 명하신대로, 자기 아들 이사악을 여드레만에 할손하니라. [오] ○ 아브라함은 자기에게 친아들 이사악이 났을 때, 백살 된이이더라. [육] ○ 또 싸라는 말하되「천주께서 나에게 기쁜 웃음꺼리를 마련하셨으니, 듣는이는 모두 나에게 반가이 웃으리라(이쓰하크)」하고, [칠] ○ 이어 말하되 「..